티스토리 뷰

정월대보름 부럼, 오곡밥, 귀밝이술 음식과 풍속 알아보기

 

 

정월대보름 또는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로, 음력으로 설날이 지나고, 첫 보름달이 뜨는 날을 말합니다.

 

요즘은 많이 잊혔지만 우리나라 세시풍속에서 설날만큼 비중이 컸던 명절입니다.

 

대보름은 마을의 명절로 온 동네 사람들이 모여서 행사를 하는 일이 많았습니다.

 

달집 태우기, 지신밟기, 쥐불놀이 등의 정월대보름 풍속은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정월대보름

 

 

달집 태우기는 정월대보름 달이 떠오를 때 나뭇가지 등으로 만든 달집을 태우며 풍요로운 새해를 기원하고 액운을 쫓는 의미가 있습니다.

 

지신밟기는 집터를 지켜주는 지신에게 고사를 올리고 풍물을 울리며 축복을 비는 풍속이며, 쥐불놀이는 논이나 밭두렁의 잡초와 잔디를 태워서 해충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시작된 풍속입니다.

 

 

 

 

그 밖에도 정월 대보름에는 장승을 세워 마을 공동체의 액운을 막고, 복을 기원하는 장승혼례식이나 연을 날리다가 줄을 끊어 멀리 날려 보내며 액운도 함께 날려 보낸다는 액막이 연 등 다양한 풍속이 있습니다.

 

장승

 

 

또한 정월 대보름에 하는 음식 풍속으로는 부럼 깨기, 오곡밥, 귀밝이술 등이 있습니다.

 

그래서 정월대보름을 '부럼 깨는 날'이라고도 부르는데요.

 

지금부터는 정월대보름 음식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부럼 이란?

 

부럼은 음력 정월 보름날 아침에 까먹는 호두, 땅콩, 잣, 날밤, 은행 등의 견과류 또는 견과류를 먹는 풍속을 일컫는 말입니다.

 

 

 

 

보통 자기 나이 수대로 깨물며, 여러 번 깨무는 것보다 한 번에 깨무는 것이 좋다고 하여 한번 깨문 것은 껍질을 벗겨 먹거나 첫 번째 깨문 부럼은 마당에 버리기도 합니다.

 

땅콩

 

부럼을 깨물면서 한 해 동안 무사태평하고 만사가 뜻대로 되며 부스럼이 나지 말라고 기원합니다.

 

그리고 이렇게 하면 1년 동안 부스럼이 나지 않으며, 이가 단단해진다고 합니다.

 


 

오곡밥 이란?

 

오곡밥은 다섯 가지 곡식으로 지은 밥입니다.

 

정월 대보름 절식의 하나이며 쌀, 보리, 콩, 조, 기장 등 다섯 가지 곡식을 이르는 말입니다.

 

오곡밥을 찰 곡식만 가지고 지으려면 찹쌀, 검정콩, 찰수수, 붉은팥, 차좁쌀 등의 다섯 가지 곡식을 시루에 쪄냅니다.

 

 

 

 

오곡밥은 정월 대보름 전날 저녁에 미리 지어서 고사리, 호박, 버섯, 무, 가지나물 등을 삶아 무친 아홉 가지나물과 함께 보름 명절의 음식으로 삼아왔습니다.

 

오곡밥에는 그 해의 곡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뜻이 담겨있고, 농사를 짓는 사람은 농사지은 곡식을 종류별로 모두 넣어서 오곡밥을 지었습니다.

 

정월대보름 오곡밥

 

 

보통 오곡밥은 보름날에 먹지만 어떤 지역에서는 보름 전날에 먹기도 하며, 약밥도 정월대보름을 대표하는 음식 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밤, 꿀, 팥, 대추, 간장, 참기름 등을 섞어서 찹쌀과 함께 찌고 잣으로 장식합니다.

 

특히 대보름날에는 다른 성을 가진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여러 집의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었습니다.

 

또 그날 하룻 동안 아홉 번 먹는 것이 좋다고 하여 틈틈이 여러 번 나누어서 조금씩 먹기도 하였습니다.

 


 

귀밝이술 이란?

 

귀밝이술은 음력 정월 대보름날 아침 식사를 하기 전에 귀가 밝아지라고 마시는 술입니다.

 

한글로는 귀밝이술이라 하며, 한자어로는 이명주(耳明酒), 유롱주(牖聾酒), 이총주(), 명이주(), 치롱주(治聾酒) 등으로 부릅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데우지 않은 청주 한 잔을 마시면 귀가 밝아지고, 그 해 일 년 동안 즐거운 소식을 듣는다고 하여 남녀노소 모두가 마셨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귀밝이술

 

 

보통 정월 대보름 아침 식사를 하기 전에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귀밝이술을 마시며, 남자 어른부터 남자아이, 여자 어른, 그리고 여자아이까지 모두 마십니다.

 

그러나 아이들은 입술에 술을 묻혀만 주고 마신 것으로 칩니다.

 

그리고 귀밝이술을 마실 때 어른들은 '귀 밝아라, 눈 밝아라'라는 덕담을 합니다.

 

 

 

 

귀밝이술 풍속은 제화초복(除禍招福)을 기원하는 세시풍속의 하나이며, 조선시대에는 청주를 마실 때 보통 더운물에 술 국자를 넣고 중탕을 해서 마셨는데, 귀밝이술은 데우지 않고 차게 마신다는 점에서 보통 때 마시는 청주와 차이를 보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귀밝이술을 차게 마시는 이유는 벽사의 의미를 강조하기 위해서였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요즘에는 마을이라는 개념이 희미해지면서 정월대보름 행사를 하거나 집집마다 음식을 함께 나누어 먹는 풍습은 거의 찾아보기 힘들어졌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월대보름 음식 풍속은 아직까지 그대로 남아있어서 지금도 대보름에 부럼을 깨고, 오곡밥과 귀밝이술을 먹는 것을 보면 음식문화의 힘이 참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정월대보름 보름달

 

 

다가오는 정월대보름에는 무사태평과 소망하는 모든 일들이 다 잘되기를 기원하며 부럼도 깨시고, 오곡밥도 지어 드시고, 귀밝이술도 드셔 보시는 길 바랍니다.